아드먼 애니메이션은 피터 로드와 데이비드 스프록스턴이 1972년에 설립한 영국의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이다. 클레이 애니메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동물원 인터뷰》, 《월레스와 그로밋》 시리즈, 《치킨 런》 등의 작품을 제작했으며, 아카데미상과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 2D, 3D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며, 넷플릭스와의 협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드먼 애니메이션 - 캐니멀 캐니멀은 아드만, BRB 인터내셔널, VoozClub이 공동 제작한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으로, 귀여운 캐릭터 디자인과 다양한 캐릭터 상품 출시, 그리고 대한민국 콘텐츠 어워드 대상 수상으로 인기를 얻었다.
영국의 영화 - 워킹 타이틀 필름스 워킹 타이틀 필름스는 팀 비반과 사라 래드클리프가 1983년에 설립한 영국의 영화 제작사로, 채널 4의 의뢰로 영화 제작을 시작하여 폴리그램의 후원을 받아 성장했으며 현재는 NBC유니버설 산하에서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 독립 영화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영국의 영화 -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BAFTA)는 영국 영화, 텔레비전, 게임 산업의 창의적 활동을 장려하는 단체이며, 영화, 텔레비전,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상식을 개최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애니메이션 제작사 - 일본동화협회 일본동화협회는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과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단체로, 제작사 협력, 지적 재산권 보호, 인재 육성, 해외 교류 및 마케팅 지원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과도 교류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사 - 메인프레임 스튜디오 1993년 설립된 캐나다 애니메이션 제작사 메인프레임 스튜디오는 메인프레임 엔터테인먼트에서 레인메이커 애니메이션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TV 시리즈 《리부트》, 《비스트 워즈》 외에도 《바비》 시리즈, 《슈퍼노바 지구 탈출기》, 《갤럭시 히어로즈: 라쳇 앤 클랭크》 등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아드먼 애니메이션은 1972년 피터 로드와 데이비드 스프록스턴이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의 꿈을 실현하고자 저예산 프로젝트로 시작했다.[79] 회사 이름은 BBC에 판매한 애니메이션 속 슈퍼히어로 캐릭터 '아드먼'에서 따왔다.
초창기 아드먼은 BBC의 청각 장애 아동용 프로그램 ''비전 온''에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며 이름을 알렸다. 이후 클레이 애니메이션 캐릭터 모프를 창작하며 본격적인 클레이 애니메이션 제작에 돌입했다. 1982년에는 인형 캐릭터의 실시간 대화 기법을 개발하여 실제 사람 같은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1985년닉 파크가 합류하면서 아드먼은 전환점을 맞는다. 파크는 월레스와 그로밋 시리즈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된다. 1989년 제작된 ''동물원 인터뷰''는 1991년아카데미상 단편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하며 아드먼의 초기 성공을 알렸다. 이후 ''월레스와 그로밋: 전자바지 소동'' (1993년), ''월레스와 그로밋: 양털 깎기 대소동'' (1995년) 등 월레스와 그로밋 시리즈는 연이어 아카데미상을 수상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1997년 아드먼은 드림웍스와 협력하여 장편 영화 제작에 나섰다. 2000년 첫 장편 영화 ''치킨 런''을 개봉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고, 2005년에는 ''거대 토끼의 저주''로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상을 수상했다. 2006년에는 최초의 CG 애니메이션 ''플러쉬''를 개봉했다. 그러나 같은 해 스튜디오 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자료가 소실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173] 닉 파크는 2005년 카슈미르 지진을 언급하며 "소중하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소장품이며 회사에 가치가 있지만, 다른 비극에 비하면 오늘 일은 큰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20][21][22] 이후 창작 견해 차이로 인해 드림웍스와의 계약은 2007년 종료되었다.
2007년부터 아드먼은 소니 픽처스 등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하며 꾸준히 작품을 발표했다. TV 시리즈 ''못 말리는 어린 양 숀'' (2007년)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고, ''월레스와 그로밋: 빵과 죽음의 문제'' (2008년)는 영국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
2018년 아드먼은 회사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로드와 스프록스턴이 회사 지분의 과반수를 직원에게 이전한다고 발표했다.[45]
2. 1. 1972년 ~ 1999년: 설립과 초기 성공
1972년, 피터 로드와 데이비드 스프록스턴은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의 꿈을 실현하고자 저예산 프로젝트로 아드먼 애니메이션을 설립하였다. 이들은 BBC의 청각장애 아동용 프로그램 ''비전 온''에 애니메이션을 제공했는데, 회사 이름은 해당 시퀀스에 등장하는 슈퍼맨 캐릭터의 이름에서 유래했다.[7]
1976년, 로드와 스프록스턴은 어린이 프로그램 ''Take Hart''를 위해 모프 캐릭터를 창작하며 클레이 애니메이션 제작을 시작했다.
1982년 로드와 스트록턴은 인형 캐릭터로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혁신적인 기법을 발전시킨다. 이 기법을 이용한 <부지런한 새(Early Bird)>라는 작품으로 아드먼은 실제 사람처럼 통찰력, 유머, 감수성을 가진 캐릭터를 개발하게 된다.
1985년닉 파크가 정규직으로 회사에 합류한다. 이때 파크는 <월레스와 그로밋: 화려한 외출>을 제작하고 있었다.
1986년피터 가브리엘의 록 뮤직 비디오 <대형 망치(Sledgehammer)>를 제작하여 그해 거의 모든 상을 휩쓸었다.
1989년 아드먼은 채널 4 텔레비전의 지원으로 5분 길이의 시리즈물 <립 싱크(Lip Sync)>를 제작한다.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파크의 <동물원 인터뷰>가 1991년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한다.
1993년 파크가 제작한 <월레스와 그로밋: 전자바지 소동>이 전 세계적으로 30개의 상을 수상한다.
1995년 파크는 <월레스와 그로밋: 양털 도둑>으로 아카데미상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 상을 수상한다.
2. 2. 2000년 ~ 2006년: 드림웍스와의 협력과 장편 영화 진출
1997년 12월, 아드먼은 드림웍스(이후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및 파테와 협력하여 아드먼의 첫 장편 영화인 ''치킨 런''의 자금 지원과 배급을 공동으로 진행하기로 발표했다. 이 영화는 이미 1년 전부터 사전 제작을 진행하고 있었다.[14] 1999년 10월 27일, 아드먼과 드림웍스는 향후 12년 동안 4편의 영화를 추가로 제작하기 위해 2억 5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15][16] 이 계약과 함께 첫 번째 프로젝트인 ''토끼와 거북이''가 발표되었으나, 2년 후 시나리오 문제로 중단되었다.[17][18]
2000년 6월 23일, ''치킨 런''이 개봉되어 평단과 흥행 모두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05년에는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거대 토끼의 저주''가 개봉되었다. 이듬해 아드먼의 첫 번째 컴퓨터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인 ''플러쉬''가 개봉되었다.
2005년 10월 10일, 아드먼 스튜디오의 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월레스와 그로밋'' 단편 삼부작 등의 피규어, 세트, 소도구, 오리지널 스토리보드 일부가 소실되었다.[173] 하지만 런던 히스로공항 부근 창고에 따로 보관한 아드먼 작품의 오리지널 프린트들은 화마를 피했다.[173] 닉 파크는 2005년 카슈미르 지진을 언급하며 "소중하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소장품이며 회사에 가치가 있지만, 다른 비극에 비하면 오늘 일은 큰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20][21][22]
2006년 10월 1일, ''뉴욕 타임스''는 창작상의 이견으로 인해 드림웍스 애니메이션과 아드먼이 계약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23] 드림웍스가 아드먼의 창작에 대한 통제를 행사하려 했기 때문에 계약이 종료되었다.[23] 이 계약은 2007년 1월 30일에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25]
2007년 4월, 아드먼은 소니 픽처스와 장편 영화의 자금 지원, 공동 제작 및 배급을 위한 3년 계약을 체결했고,[28] 2010년에 갱신했다.[29]
2007년, TV 시리즈 《못 말리는 어린 양 숀》이 BBC에서 처음 방송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판매되었다.
2008년, 《월레스와 그로밋: 빵과 죽음의 문제》가 BBC에서 방송되었으며,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상 후보에 오르고 영국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하였다. 같은 해 아드먼은 채널 4와 루푸스 필름과 협력하여 사용자 제작 콘텐츠 애니메이션 포털인 4메이션스(4mations)를 출시했다.[32] 또한 그 해의 BBC One 크리스마스 아이덴트를 디자인했는데, 여기에는 월레스와 그로밋이 등장했다.[33] 2008년 4월, 아드먼은 유튜브(YouTube) 채널을 개설했다.[33] 12월부터는 뉴그라운즈(Newgrounds)에 ''월레스와 그로밋'', ''숀 더 쉽''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플래시 게임을 게시하기 시작했다.[34]
2009년, 닌텐도(Nintendo)는 아드먼이 플립노트 스튜디오만 사용하여 12편의 단편 영화를 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5] 같은 해에 스튜디오의 본사는 브리스톨의 가스 페리 로드에 있는 새로운 건물로 이전했다.[36] 4월, 아드먼 애니메이션은 UKTV에서 기존 Watch 아이덴티티를 편집하여 아이덴티티에 등장하는 풍선 눈알("블링키"라고 함)이 깜박이게 만들었다.
2013년, 자선 예술 트레일 Gromit Unleashed 전시를 했다. 10월, 로드(아드먼 애니메이션 공동 설립자)는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킥스타터에서 자금 모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캠페인은 12개의 새로운 1분짜리 <몰프> 에피소드를 제작하는 데 사용될 75000GBP를 목표로 했다.[37][38]
2015년, 스튜디오는 뉴욕에 본사를 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네이선 러브(Nathan Love)의 지분 과반수를 인수했으며,[39] 같은 해 9월 25일 ''Introducing: Aardman Nathan Love''라는 단편 영화를 통해 합병을 발표했다.[40] 그 결과로 영국의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시리즈 ''디그비 드래곤''이 2016년 닉 주니어 UK에서 데뷔했다. 같은 해, 스튜디오 카날과 협력하여 《숀더쉽》을 개봉했다.
2018년, 《얼리맨》을 개봉했다. 11월 9일, 아드먼 애니메이션은 스튜디오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로드와 스프록스턴이 회사의 지분 과반수를 직원들에게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5]
2019년, 《숀더쉽 더 무비: 꼬마 외계인 룰라!》를 개봉했다. 1월, 로드와 스프록스턴은 스튜디오의 역사를 자세히 설명하는 책 ''A Grand Success! The Aardman Journey, One Frame at a Time''을 출간했다.[46]
아드먼 애니메이션은 다수의 장편 영화, 단편 영화, TV 시리즈 및 비디오를 제작했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1989년, 닉 파크의 《동물원 인터뷰》는 1991년 제63회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하였다.[141]
1993년, 닉 파크가 제작한 30분 길이의 애니메이션 《월리스와 그로밋: 전자바지 소동》은 전 세계적으로 30개의 상을 수상하며 파크의 가장 성공한 애니메이션 중 하나로 꼽힌다.[141]
1995년, 닉 파크는 《월리스와 그로밋: 양털 도둑》으로 제68회 아카데미상에서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 상을 수상하였다.[141]
《월리스와 그로밋: 빵과 죽음의 문제》는 2008년 BBC1에서 크리스마스에 방송되어 1615만 명이 시청하는 기록을 세웠다. 2009년 미국 아카데미상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 상에 노미네이트되고, 제62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 상을 수상하며, '월리스와 그로밋' 시리즈의 모든 작품이 BAFTA를 수상하거나 아카데미에 노미네이트되는 기록을 세웠다.[141]
아드먼 애니메이션의 장편 영화, TV 시리즈, 단편 영화 목록은 각각 #장편 영화, #TV 시리즈 (단편), #단편 영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적! 그래서 해적이 되고 싶다고 The Pirates! So You Want to Be a Pirate!
2012년
월리스와 그로밋의 음악적 경이로움 'Wallace & Gromits Musical Marvels''
2012년
어두운 면 Darkside
2013년
[161][162]
구 Sphere
2013년
좀비 요정 Zombie Fairy
2014년
[163]
레이의 대단한 도전 'Rays Big Idea''
2014년
[164]
속달 우편 Special Delivery
2015년
[165]
충만 Full ANL(Aardman Nathan Love)
2015년
못 말리는 어린 양 숀: 농부의 라마 'Shaun the Sheep: The Farmers Llamas''
2015년
맥 Mac
2016년
[166]
NSPCC
2016년
[167]
"Visual this"
2017년
[168]
1989년, 닉 파크의 《동물원 인터뷰》(Creature Comforts)는 1991년 제63회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하였다.[141]
1993년, 닉 파크가 제작한 30분 길이의 애니메이션 《월리스와 그로밋: 전자바지 소동》(Wallace & Gromit: The Wrong Trousers)은 전 세계적으로 30개의 상을 수상하며 파크의 가장 성공한 애니메이션 중 하나로 꼽힌다.[141]
1995년, 닉 파크는 《월리스와 그로밋: 양털 도둑》(Wallace & Gromit: A Close Shave)으로 제68회 아카데미상에서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 상을 수상하였다.[141]
《월리스와 그로밋: 빵과 죽음의 문제》(Wallace & Gromit: A Matter of Loaf and Death)는 2008년 BBC1에서 크리스마스에 방송되어 1615만 명이 시청하는 기록을 세웠다. 2009년 미국 아카데미상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 상에 노미네이트되고, 제62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 상을 수상하며, '월리스와 그로밋' 시리즈의 모든 작품이 BAFTA를 수상하거나 아카데미에 노미네이트되는 기록을 세웠다.[141]
4. 제작 기법 및 특징
아드먼 스튜디오는 클레이 애니메이션을 비롯하여 스톱모션, 2D 및 3D 애니메이션, 립 싱크 등 다양한 제작 기법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해왔다.
1982년, 아드먼은 인형 캐릭터로 실시간 대화가 가능한 혁신적인 기법을 개발했다.[141] 이 기법을 이용한 《Early Bird|부지런한 새영어》는 실제 사람처럼 통찰력, 유머, 감수성을 가진 캐릭터를 선보이며 아드먼의 특징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41]
1989년, 아드먼은 채널 4 텔레비전의 지원을 받아 5분 길이의 시리즈물 《Lip Sync|립 싱크영어》를 제작했다.[141] 이 시리즈는 실제 인물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실제 인물에 기반을 둔 캐릭터를 통해 획기적인 애니메이션의 세계를 열었다.[141]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닉 파크의 《동물원 인터뷰》는 1991년 제6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했다.[141]
아드먼은 광고, 브랜드 컨텐츠, 디지털 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혁신적인 광고 소재와 인상적인 멘트로 주목받았다.[141] 영국 전쟁 박물관, BBC 라디오 예고편, 구글 스포트라이트 기술, 글로벌 영화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드먼의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활용되었다.[141]
4. 1. 클레이 애니메이션
아드만은 '아드믹스(Aard-mix)'라는 자체 개발 점토를 사용하여 캐릭터의 움직임을 표현한다.[142] 아드믹스는 일반 클레이 점토보다 유연하면서도 쉽게 굳지 않아 자연스러운 동작과 표정을 연출할 수 있다.[142] 또한 형태를 변형해도 부서지지 않아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142]
제작 과정은 먼저 배경 위에 점토 캐릭터를 설치하고, 손으로 조금씩 동작과 표정을 바꾼다.[142] 이때마다 사진을 한 장씩 촬영하고, 이 사진들을 연결하면 움직이는 영상이 된다.[142]
4. 2. 스톱모션
아드먼은 클레이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스톱모션 기법을 활용한다. 세계에서 가장 크거나 작은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174]
아드먼 스튜디오는 클레이 스톱모션으로 유명하지만, 2D, 3D 애니메이션, 단편, 장편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 도전한다.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경우, 일반적으로 3D 형태를 생각하지만, 아드먼은 2D 형태의 클레이 애니메이션인 ‘렉스 더 런트’를 제작하여 클레이를 얇고 납작하게 만들어 평평한 느낌을 살렸다.[174]
또한, 아드먼은 세계에서 가장 크거나 작은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단편 는 영국 사우스 웨일즈의 펜다인(Pendine) 해변 모래사장 3300m2를 무대로 제작되어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큰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세트’로 등재되었다. 반대로, 단편 은 현미경으로만 보이는 9mm 크기의 캐릭터가 등장하는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이다. 파도에 쫓기는 소녀 ‘Dot’은 다니엘 플레처(Daniel Fletcher) 교수가 현미경 대신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셀스코프(CellScope)를 노키아 폰에 장착하여 촬영했다. 은 기네스북에 ‘세상에서 가장 작은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등재되었고, 2011년 웨비 어워즈(Webby Awards)에서 수상했다.[174]
4. 3. 2D 및 3D 애니메이션
아드먼은 2D 및 3D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도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렉스 더 런트(Rex, The Runt)''': 1998년 BBC2에서 방영된 2D 클레이 애니메이션이다. 클레이를 얇게 펴서 평면적인 느낌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어린이와 어른 모두를 대상으로 했으며, 국제적으로 많은 상을 받았다.[141] 2001년에는 BBC2의 지원으로 두 번째 시리즈가 방영되었다.
'''플러쉬(Flushed Away)''': 2006년 10월 드림웍스를 통해 전 세계에 상영된 아드먼 최초의 CG 애니메이션이다. 2007년 영국 아카데미에 노미네이트되었다.[141]
4. 4. 립 싱크
아드만 애니메이션은 실제 인물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캐릭터의 입 모양을 만드는 립 싱크 기법을 사용한다. 초기 작품인 "Animated Conversations" 시리즈는 이 기법을 활용한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시리즈에는 《Down and Out|다운 앤드 아웃영어》(1977년), 《Confessions of a Foyer Girl|어떤 접수원의 고백영어》(1978년) 등이 있다.
이후 "Conversation Pieces" 시리즈에서도 립 싱크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On Probation|심사장에서영어》(1983년), 《Sales Pitch|판매 거절영어》(1983년), 《Palmy Days|영광의 나날영어》(1983년), 《Early Bird|얼리 버드영어》(1983년), 《Late Edition|편집자의 중얼거림영어》(1983년) 등이 있다.
5. 수상 내역
아드먼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작품으로 많은 상을 받았다. 특히, 동물원 인터뷰, 월레스와 그로밋 시리즈는 아카데미상과 BAFTA 등 주요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며 그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2018년서울특별시DDP에서 아드만 애니메이션전(in Seoul)이 개최되었다. 이 전시는 프랑스, 독일, 호주를 거쳐 열린 대규모 전시로, 아드만의 초기 작품부터 소품, 제작 과정, 비하인드 스토리 등을 소개하여 국내 팬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175] 전시는 2018년 4월 13일부터 7월 12일까지 진행되었다.[175]
7. 한국과의 관계
아드먼 애니메이션은 특유의 클레이 애니메이션 기법과 독창적인 캐릭터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으며, 한국과도 특별한 인연을 맺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아드먼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인 《월레스와 그로밋》은 일본 글리코 유업의 푸딩 제품인 プッチン・プリン|풋친 푸딩일본어 CM에 등장하여 한국에서도 방영되면서 큰 인기를 얻었고, 아드먼 애니메이션의 지명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141]
7. 1. 글리코 푸친 푸딩 CM
プッチン・プリン|풋친 푸딩일본어은 일본의 글리코 유업에서 만든 푸딩 제품으로, 아드먼 애니메이션의 《월레스와 그로밋》이 이 제품의 CM에 등장했다.[141] 1990년대 후반, 이 CM은 대한민국에서도 방영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당시 이 CM은 진보 성향의 젊은 층에게는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으나, 보수적인 기성세대에게는 다소 생소하게 느껴졌을 수 있다.
7. 2.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영향
아드먼 애니메이션의 성공 사례는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에 창의성과 기술력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141] 특히,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한국 제작자들에게 영감을 주어 관련 기술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4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